프리랜서나 아르바이트, 단기 계약직, 플랫폼 일을 하다 보면 급여에서 세금 3.3%가 빠지는 걸 경험하게 됩니다. 그런데 이 3.3%가 정확히 어떻게 계산되는지 헷갈릴 때가 많죠. 그래서 오늘은 세금 3.3% 계산기와 계산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고 네이버에서 어떻게 계산을 할 수 있는 지 정리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세금 3.3% 계산 방법
3.3% 계산에 앞서 왜 공제가 되는 지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3.3% 세금 왜 공제되나요?
3.3%가 공제되는 이유는 정규직처럼 회사와 근로계약을 맺지 않고 프리랜서나 단기 일처럼 일할 경우에는 사업소득으로 분류되기 때문인데요. 이런 경우에는 세금을 미리 떼고 주는 방식(원천징수)으로 일을 맡긴 사람이 대신 국가에 세금을 내게 되어 있습니다. 이때 빠지는 3.3%는 사실 3%의 소득세와 0.3%의 지방소득세가 합쳐진 금액입니다.
세금 3.3% 계산 핵심 공식
3.3% 계산은 생각보다 간단합니다. 아래 공식만 기억하면 됩니다.
- 공제액(세금) = 지급금액 × 0.033
- 실수령액 = 지급금액 − (지급금액 × 0.033)
더 쉽게 계산하려면
- 지급금액 × 0.967
(전체 금액의 96.7%가 실수령액이 됩니다)
세금 3.3% 계산 예시
실제 금액으로 예시를 들어보면 더 이해하기 쉬울 것 같아 준비를 해보았습니다.
지급금액 | 세금(3.3%) | 실수령액 |
---|---|---|
100,000원 | 3,300원 | 96,700원 |
500,000원 | 16,500원 | 483,500원 |
1,000,000원 | 33,000원 | 967,000원 |
3,000,000원 | 99,000원 | 2,901,000원 |
이 공식만 외우면 복잡한 상황에도 언제든 손쉽게 계산이 가능합니다. 3.3% 계산은 생각보다 단순하지만 매번 계산하기 번거롭다면 네이버 계산기를 활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네이버 계산기로 세금 3.3% 계산하기
1. 모바일이나 PC에서 네이버에 접속합니다.
2. 퍼센트 계산 입력 후 검색을 하게 되면 이렇게 퍼센트 계산기가 나오게 됩니다.
3. 전체 값에 받을 금액, 그 옆에 칸에 3.3%를 입력해주세요. 예를 들어 100만원(1,000,000)을 입력하고 3.3을 입력하면 결과값으로 세금이 즉시 확인됩니다.

4. 계산기에 나온 세금(33,000원)을 총금액(1,000,000원)에서 빼면 실수령액(967,000원)이 바로 산출됩니다.
세금 3.3% 계산기
네이버까지 가기가 번거롭다면 제가 만든 계산기를 이용해보세요.
3.3% 세금 공제 계산기
기본세율 (3%) : ₩0
지방소득세 (0.3%) : ₩0
총 원천징수액 (3.3%) : ₩0
실제 수령액 : ₩0
금액만 입력을 하면 세금 3.3% 떼고 실수령액을 알 수가 있습니다.
마무리
세금 3.3% 계산은 프리랜서, 단기알바, 기타소득자에게 흔히 적용되는 중요한 부분입니다. 간단한 공식(세금은 3.3% 곱하기, 실수령액은 96.7% 곱하기)만 외워두면 복잡하거나 속상할 일 없이 직접 계산할 수 있습니다. 어렵다면 계산기를 이용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