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폰 최초 개통일 확인 방법 활성화된 시간 조회하기

아이폰을 사용하다 보면 내 아이폰의 개통일이나 보증기간이 궁금할 수가 있습니다. 특히 2년 가까이 사용을 하다보면 AS 때문이라도 꼭 확인을 해줘야 하는데요. 오늘은 아이폰 최초 개통일 확인 방법과 활성화 날짜 그리고 이와 관련된 보증기관, 애플케어+ 적용 기준까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저도 최근에 중고로 아이폰을 팔았는데 이런 부분 때문에 좀 꼼꼼하게 알아보게 되었습니다.

아이폰 최초 개통일 확인이 중요한 이유

아이폰을 구매하거나 사용할 때 개통일과 활성화일을 확인하는 가장 큰 이유는 바로 A/S 보증기간 때문입니다. 애플은 아이폰 활성화일(즉 최초로 기기가 애플 서버에 등록된 날)로부터 1년 동안 기본 무상 보증을 제공합니다.

이 기간 내에 아이폰에 문제가 발생이 되면 무상 서비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중고폰이나 리퍼폰을 구입할 때 남은 보증기간이 얼마나 되는지 이미 보증이 끝난 제품인지 확인하는 것도 매우 중요한데요.

아이폰을 중고로 팔 때 이 부분에 대해서 꼼꼼하게 확인하시는 분들이 많아 저도 이번에 자세히 알게 되었습니다. 보증기간이 남아 있는지 안 남아 있는지에 따라 가격 차이가 많이 나니까 중요합니다.

아이폰 최초 개통일 및 활성화 날짜 확인 방법

자, 이제 실제로 아이폰 최초 개통일과 활성화 날짜를 확인하는 방법을 알아볼까요? 크게 3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아이폰에서 직접 확인하기

아이폰 설정에서 간단하게 확인이 가능합니다.

1. 설정 > 일반 > AppleCare 및 보증을 클릭합니다.

아이폰 최초 개통일 확인 방법 활성화된 시간 조회하기

2. AppleCare 보증 화면에서 현재 사용 중인 기기를 선택해주세요.

아이폰 최초 개통일 확인 방법 활성화된 시간 조회하기

3. 그러면 제한 보증이라는 표시와 함께 유효기간을 확인할 수가 있습니다. 여기에서 제한 보증 만료일에서 1년을 빼면 대략적인 활성화일(보증 시작일)을 알 수가 있습니다. 저는 2025년 9월 23일이니까 활성화일은 2024년 9월 23일이 되겠습니다.

아이폰 최초 개통일 확인 방법 활성화된 시간 조회하기

※ 다만 보증이 만료가 되면 보증이 만료됨이라고 뜨기 때문에 이 때에는 2번째 방법으로 확인을 해야 합니다.

애플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하기

이 방법은 아이폰의 일련번호를 입력하면 보증 만료일과 구입일을 알 수가 있습니다.

1. 아이폰에서 설정 > 일반 > 정보 > 일련정보 항목을 복사 또는 기억합니다.

아이폰 최초 개통일 확인 방법 활성화된 시간 조회하기

2. 애플 보증 확인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3. 아이폰 기기 일련 번호를 입력하고 보증 코드를 입력합니다. 그리고 제출하기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아이폰 최초 개통일 확인 방법 활성화된 시간 조회하기

4. 아이폰 일련번호를 입력하면 보증 만료일과 함께 구입일을 알 수가 있습니다. 여기서 구입일이 아이폰 최초 개통일이고 보면 되겠습니다.

아이폰 최초 개통일 확인 방법 활성화된 시간 조회하기

통신사에서 개통일 확인

각 통신사 고객센터(114) 또는 통신사 앱 / 홈페이지(SK텔레콤, KT< LG U+ 등)에서 휴대폰 개통 이력 조회 메뉴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KT 기준으로 확인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KT 홈페이지에 접속 후 로그인을 합니다.

2. 마이 > 가입/이용 > 가입정보 메뉴를 차례대로 선택합니다.

아이폰 최초 개통일 확인 방법 활성화된 시간 조회하기

3. 가입정보 화면에서 단말기 개통 이력 조회를 클릭하세요.

아이폰 최초 개통일 확인 방법 활성화된 시간 조회하기

4. 본인 인증 이후 휴대폰 개통 이력 조회 화면에서 일자를 확인할 수가 있습니다.

아이폰 최초 개통일 확인 방법 활성화된 시간 조회하기

중고폰의 경우 최초 개통일은 통신사 전산 기록을 통해서만 확인이 확실합니다.

개통일과 활성화일만큼 중요한 건 현재 배터리 상태입니다.
아이폰을 오래 썼다면 사이클 수를 확인해 배터리 교체 시기도 꼭 점검해보세요.

→ 아이폰 배터리 사이클 수 확인법 보러가기

AppleCare+ 보증기간 기준일

많은 분들이 헷갈려하는 부분이 바로 AppleCare+의 보증기간 시작일입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기본 보증(제한 보증) : 활성화일 기준으로 1년
  • AppleCare+ 보증기간 : AppleCare+ 보증은 아이폰 구매일 기준으로 시작됩니다. 가입을 나중에 하더라도 보증기간은 기기 구매일을 기준으로 소급 적용됩니다.

예를 들어 아이폰을 2025년 5월 4일에 구매를 했고 AppleCare+ 가입일이 2025년 7월 1일이라면 보증기간은 2025년 5월 4일 ~ 2027년 5월 4일이 됩니다.

자주 묻는 질문

내 아이폰의 활성화일이 정확히 언제인지 알 수 있나요?

아이폰 설정의 제한 보증 만료일에서 1년을 빼면 대략적인 활성화일을 알 수 있습니다. 더 정확한 정보가 필요하면 애플 기기 보증 확인하기 사이트에서 일련번호로 확인하세요.

AppleCare+ 보증기간은 언제부터 적용되나요?

AppleCare+는 구매일 기준으로 보증이 시작됩니다. 즉 AppleCare+를 나중에 가입해도 그 가입일부터 2년(또는 3년)간 적용됩니다.

중고 아이폰을 샀는데 보증기간이 남아있는지 어떻게 확인하나요?

아이폰의 일련번호를 확인한 뒤 애플 기기 보증 확인하기 사이트에서 일련번호 입력해서 확인을 하세요.

마무리

아이폰 최초 개통일 확인을 통해 내 보증기간을 정확히 알 수가 있습니다. A/S 보증기간은 보통 활성화일 기준 1년이며 AppleCare+는 구매일 기준 2~3년입니다.

보증기간 확인은 아이폰 설정, 애플 사이트, 통신사 고객센터에서 확인이 가능하기 때문에 중고폰, 리퍼폰 구매시에는 이 부분을 꼭 확인해서 보증기간이 얼마나 남아 있는지 체크를 해보세요.

댓글 남기기